온풀투데이
[GIT] Github 소스 코드 수정 후 저장소에 반영하기, 파일 수정 후 저장하기 본문
소스 코드 수정한 후 저장소에 반영하는 방법
- 소스 코드를 수정한 후 cmd에서 clone 파일에 이동한다. (본인은 C:\web\TIL 이다.)
git status
- git status를 입력하면 빨간색으로 수정된 파일들이 표시된다. 또한 새로 추가된 css 파일도 보인다.
git add
- git add 하여 수정한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릴 수 있다. git add 한 후에 다시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한 화면이다.
- 새로 추가된 파일과 수정된 파일이 적용되어 초록색으로 표시되었다.
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
- 커밋 메세지를 입력해 준다.
- 커밋할 때 명령어를 잘못 입력해 주었다면, git commit --amend를 통해 수정할 수 있다.
git push
- 마지막으로 git push 명령어를 입력해 준다.
- 저장소에도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형상관리 방법 - clone, pull, push, 브랜치 생성 등 (1) | 2024.01.26 |
---|---|
[GIT] 일반 저장소와 project 차이 (0) | 2024.01.26 |
[GIT]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: 403 해결 (0) | 2023.12.20 |
[GIT] 회사 pc에서 계정 두 개 사용하기, 소스트리에서 계정 두 개 사용 (4) | 2023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