온풀투데이
[GIT] 회사 pc에서 계정 두 개 사용하기, 소스트리에서 계정 두 개 사용 본문
폐쇄망이어서 그런지 구글링에서 많이 나오는 ssh 발급 방법은 여러 번 시도해도 되지 않았다.
결국 ssh 를 통한 방법 말고, 아래 링크 참고해서 토큰 발급 후, https 연결하는 것으로 성공...
이걸로 이틀내내 삽질함
1. 깃허브 오른쪽 상단 프로필 클릭 > 세팅 클릭
2. 왼쪽 최하단 개발자 세팅 클릭
3. 왼쪽 최하단 토큰즈 클릭 > Generate new token 클릭
4. 제목 아무거나, 기간도 아무거나, 옵션은 repo만.(디테일한 건 추후 업뎃하겠음) > 생성
5. 토큰 복사(나는 이미 복사해서 안 뜨는데, 복사하고 꼭 보이는 곳에 붙여넣기 해야 함. 잊어버리면 재발급 해야 함)
6. 소스트리 > 계정 >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 > 비밀번호(애플 키체인 어쩌구) 입력하라 하면 복사한 토큰 입력 > 계정 연결
7. 연결 확인 후, 깃 푸쉬해 보기, 기존 업무용 계정에 영향 없는지 확인하기
개인 생각) 기존 업무 깃 계정에 영향이 없는 이유는 소스트리에서 지정한 깃 전역 계정이 회사 계정이고, 위에서 설정한 건 로컬 레포에 대한 계정 설정이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음. 추후 문제 생기면 추가 예정
참고한 링크)
[Git] Git & Sourcetree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연결, Github token 발급
깃허브와 소스트리 연결하기 1. 깃허브 로그인 후 Repository > +New 클릭하여 새로운 저장소 생성 2. 생성한 저장소의 URL을 복사해둔다 3. 소스트리를 들어가서 로컬 탭을 누른 후 [새로 만들기] > [로
jerryjerryjerry.tistory.com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형상관리 방법 - clone, pull, push, 브랜치 생성 등 (1) | 2024.01.26 |
---|---|
[GIT] 일반 저장소와 project 차이 (0) | 2024.01.26 |
[GIT]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: 403 해결 (0) | 2023.12.20 |
[GIT] Github 소스 코드 수정 후 저장소에 반영하기, 파일 수정 후 저장하기 (0) | 2020.08.30 |